커뮤니티
COMMUNITY

  • Home
  • 커뮤니티
  • 공지사항

공지사항

전주 한옥마을에서 한옥의 옛정취를 즐기시고 행옥 스테이에서 편안한 휴식을 즐기세요.

국립무형유산원 무형문화재기념관 안내
1078 2018.04.10
목록/취소 수정하기

file 138_report_01.jpg file 138_report_03.jpg file 138_report_06.jpg file 138_report_07.jpg file 138_report_12.jpg

Link Check Link URL :
UCC Check UCC URL :

국립무형유산원 무형문화재기념관 안내

국립무형유산원 무형문화재기념관 안내

국립무형유산원 무형문화재기념관 안내

국립무형유산원 무형문화재기념관 안내

국립무형유산원 무형문화재기념관 안내

혼의 정수, 무형문화재 기념관 개관
가장 한국스러운 도시 전주와 찰떡궁합인 국립무형문화유산원에 특별한 공간이 생겼습니다. 바로 올 3월 개관한 『무형문화재기념관, 사라지지 않는 빛』입니다. 우리 전통문화를 꿋꿋이 지키며 계승해 오고 있는 국가문화무형문화재 보유자의 삶과 업적을 조명하고 그 높은 정신을 '사라지지 않는 빛'으로 상징하여 만든 공간입니다.기존 무형문화유산원 상설 전시실에서 무형문화유산에 대해 전시하고 있었지만 이번 특별관 개관을 통해서 우리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의 작품과 각종 기록물을 좀 더 집중적으로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6개의 테마공간 – 아이스크림보다 더 다양한 무형문화재의 세계
기념관은 소리, 무용과 연희, 맛과 맵시, 의례와 의식, 축제와 놀이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솔직히 고백컨대 무지한 저는 무형문화재라하면 춤, 소리 정도만 떠올릴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전시관을 관람해보니 무형문화재란 술을 담그는 일부터 놀이를 전승하는 일까지 정말 다양했습니다. 생각해보니 우리의 삶 그 자체가 우리의 문화이니 다양한 무형문화와 그 무형문화유산을 이어나가시는 여러 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계신게 당연합니다. 1962년 제도 도입 이후 지난 50여 년간 140여 종목이 지정되었고, 500여 명의 보유자가 인정되었다고 합니다.

친필편지부터 한평생 쓰던 제작도구까지 - 문화재 보유자들의 숨결을 그대로
기념관 내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작고 보유자를 비롯한 명예보유자, 현 보유자의 일생, 전수하게 된 과정 등이 사진, 남긴 도구와 작품, 각종 기록물, 저서 등을 통해 소개되고 있습니다. 직접 사용하던 악기, 제자에게 써 주었던 친필 편지, 공연 때마다 직접 수선해 오던 무대 의상, 직접 필기하며 연구하던 악보, 평생 손에서 놓지 않던 옷칠도구 까지...... 관련 물품마다 사연과 어려운 상황에도 무형문화유산을 이어나가길 주저하지 않던 이야기들이 있었습니다. 한평생 놓지 않았을 제작도구를 볼 때는 경이롭기까지 하더군요. 물건에 손대면 그 사람의 일생이 보이는 판타지 영화의 주인공이 된듯한 착각이 들었습니다.

사라지지 않는 빛
근래 들어 매체에서 우리 역사에 대해 다양하게 접근하는 프로그램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우리 역사를 가지고 랩을 만들어 무대에 올리기도 하고 유명한 강사를 초청해 한국사를 좀 더 쉽고 다양하게 접하는 방법을 소개하기도 합니다. 좋은 일이지요. 그러나 이번 기념관 취재를 하며 많은 유물, 유적, 사건 외에 또 다른 역사인 무형문화재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 얼마나 아는지 생각해 보게 되더군요. 금새 다 보지 않을까 싶던 제 마음이 부끄러워질만큼 이 공간에서 느끼고 배운 그분들의 삶은 숭고했고 우리의 문화는 더욱 빛나보였습니다. 어쩌면 거창한 유적지보다 알아주지 않아도 혼과 삶, 정신을 지켜나가고 있는 이 사라지지 않는 빛이야 말로 진짜 살아있는 한국사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가 우리로서 있을 수 있는 바탕에 그분들이 계심을 기억하고 감사하며 이 봄날, 사라지지 않는 빛과의 만남을 추천해 드립니다.

[무형문화재기념관- 사라지지 않는 빛 관람안내]
전시장소: 국립무형문화유산원(한옥마을 인근) 내 어울마루 1층
관람시간: 오전 9:30~ 오후 5:30 (매주 월요일, 1월1일 휴관)
관람료: 무료 *평일 단체 관림은 사전예약요망( 10인이상, 사전요청시 해설사 해설 가능)
문의: 063-280-1400 / www.nihc.go.kr